전명자 Myungja JUN

전명자(B.1942) 화백의 작업 반세기는 이처럼 전후사의 키워드로 보았을 때 전기의 표상(représentation)적 재현 중심의 양식과 후기의 비표상(非表象, non-représentation)적 현전(presence)중심이라는 ‘2분법적 양상’(la manière dichotomique)을 보여준다. 전자의 재현양식은 우리의 감관을 기반으로 하는 지각(知覺, Perception)에 의해 바깥의 사물과 눈을 사이에 두고 이루어지는 상(象, l'image)의 일대일 대응으로서, 이른 바 사상(寫像, mapping)의 재현을 뜻한다면 후자의 현전양식은 일대다(多)의 대응으로 앞서와 같은 사상이 해체되는 경우를 뜻하고 광학적으로 지각표상이 깨지는 경우는 물론 의식의 분열에 의한 병리적 형상까지를 총칭한다. 문제는 전 화백의 후기와 같이 오로라의 스펙터클의 경우, 광자의 입자들과 지표의 자기장의 충돌이 빚는 오로라 현상은 지극히 자연적인 극적 현상이라 할 수 있다. 

Jun Myung Ja’s half-century of painting career can be divided into early and late periods, which shows a ‘dichotomy’ of the style centered on representation in the early period and the style centered on non-representational presence in the later period. The former mode of representation is a one-to-one correspondence of images between the eyes and external objects through perception based on the senses, which means the representation of the so-called ‘mapping’. The latter mode of presence is a one-to-many correspondence, meaning a case where the mapping as the previous one is dismantled, and also referring to cases where optically perceptual representations are broken as well as pathological forms caused by fragmentation of consciousness. In the case of the spectacle of the aurora, as shown in the later career of Jun Myung Ja, the aurora phenomenon caused by the collision of photon particles with the magnetic field of the earth’s surface can be called a dramatic yet extremely natural phenomen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