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지(1941-2021)의 작품은 반복과 절제, 무채색과 행위의 기록이 하나의 화면에 공존하는 독자적인 예술 세계로 알려져 있다. 그녀는 생명감 있는 움직임과 동시에 내면적 침잠을 유도하는 평면 위에서 인간의 실존적 고뇌와 존재의식을 구현한다. 캔버스를 가로지르는 롤러와 나이프의 행위는 단순한 제스처를 넘어 삶의 리듬과 존재의 호흡을 새긴다. 화면 전체는 행위의 연속체로 구성되며, 이는 ‘○’ 시리즈를 중심으로 한 이정지의 후기 모노크롬 회화에서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다.
작품은 전통적인 한국의 평면 주의와 모노크롬의 미학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단순한 계승이 아니라 그것을 극복하고 발전시킨 변주의 형태로 평가된다. 그녀는 표면과 내면, 생성과 붕괴, 유와 무 같은 상반된 개념들 사이의 균형과 긴장을 표현함으로써, 이분법적 사고의 경계를 넘나든다. 상파울루 비엔날레(1983), 까뉴 국제회화제(1984), 베이징 국제비엔날레(2010, 2015) 등 다수의 국제 전시에서도 주목을 받았다. 그녀는 70년대 후반부터 독자적인 형식과 언어를 구축해온 한국 현대 추상 회화의 중심인물로 평가받는다.
1980년대 단색조 회화로 국내외의 주목을 받아온 이정지 작가는 1990년대 중반부터 단색조의 거친 화면에 서체를 끌어들이면서 현재의 작품세계로 이어지는 전환점을 맞이하게 된다. 단색의 화면은 캔버스 위에 롤러(roller)를 통해 바탕 전체를 색으로 덮고, 색 표면을 다시 나이프로 긁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 궤적은 자연스럽게 시간의 흔적을 드러낸다. 이와 같은 작업은 습관적이고 형식적이기보다 작가의 순간의 기운과 정신에 힘입어 호흡과 신체의 움직임의 밸런스에 따른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작품은 우리에게 긍정의 메시지(message)를 전달하고 있다.
이정지의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일본 후쿠오카 미술관 등 국내외 유수 기관에 소장되었고, 개인전으로는 도쿄 무라마쯔화랑(1983, 1985)과 선화랑(2020, 2018, 2017, 2016), 브라질 상파울로 비엔날레(1983) 등에서 깊은 인상을 남겼다. 다양한 전시를 통해 한국 여성 추상 화가로서 굵직한 족적을 남겼으며, 늘 작품에 담긴 화두는 다 같이 아우르는 화합하는 삶에 대한 이야기로 현시대에 필요한 메시지를 몸소 실천하며 작업을 통해 보여주었다.
Chungji Lee (1941–2021) was renowned for her distinctive artistic universe, where repetition and restraint, achromatic tones, and traces of action coexist on a single canvas. Her work evokes existential anguish and a deep awareness of being, expressed through surfaces that convey both vibrant movement and profound stillness. The gestures made with rollers and knives cutting across the canvas transcend simple technique, inscribing the rhythm of life and the breath of existence. The entire surface becomes a continuum of action—most vividly demonstrated in her later monochromatic paintings, particularly the “○” series.
Her art is grounded in the aesthetics of traditional Korean flatness and monochrome, yet it is far from a mere continuation. Rather, it represents a transformation a reinterpretation into her own unique variation. She explored the balance and tension between opposing concepts such as surface and depth, creation and collapse, presence and absence. In doing so, she transcended binary ways of thinking. Her work garnered international attention at exhibitions including the São Paulo Biennale (1983), the Cannes International Painting Festival (1984), and the Beijing International Biennale (2010, 2015). Since the late 1970s, she has been recognized as a pivotal figure in Korean contemporary abstract painting, having forged a distinct visual language and form. In the 1980s, her achromatic paintings drew acclaim both domestically and abroad. By the mid-1990s, she began incorporating calligraphic elements into her monochrome surfaces, marking a key turning point in the evolution of her artistic direction. Her monochrome canvases are produced by repeatedly covering the entire surface with paint using a roller, then scraping it with a knife. These marks naturally reveal the passage of time. Her process is not habitual or formulaic, but instead shaped by the energy and spirit of each moment achieving a subtle harmony between breath and bodily movement. Her works resonate with a message of affirmation and positivity.
Her paintings are held in esteemed institutions such as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the Seoul Museum of Art, and the Fukuoka Art Museum in Japan. Her solo exhibitions include presentations at Muramatsu Gallery in Tokyo (1983, 1985), Sun Gallery (2020, 2018, 2017, 2016), and the São Paulo Biennale (1983). Through these and other exhibitions, she left a lasting legacy as a pioneering Korean female abstract painter. Her work consistently revolves around themes of unity and harmony in life, embodying values that remain deeply relevant in contemporary society.